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우리 동네 홍수 위험지도는 하천 범람과 집중호우 시 예상되는 침수 범위와 침수 깊이를 시각화한 안전 정보 지도입니다. 이 지도는 환경부에서 제작하며, 100년에 한 번 올 만한 극한 강우 상황에서 하천 제방 붕괴나 월류 등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홍수 발생 시 잠길 위험 지역을 미리 알려줍니다. 특히 최근 잦아진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 

홍수 위험지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 하천 범람으로 인한 침수 예상 지역을 표시한 ‘하천범람지도’가 있고, 도심 내 우수배제시설 용량 초과나 고장 시 발생 가능한 침수 범위와 깊이를 나타내는 ‘도시침수지도’가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자신의 주거지나 자주 다니는 지역의 위험 수준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우리동네 홍수위험지도 정보시스템 바로가기

 

홍수 위험지도는 아래 공식 사이트에서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환경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
https://floodmap.go.kr/public/publicIntro.do

 

KBS 홍수위험지도 공개 홈페이지
http://news.kbs.co.kr/special/tamsaK/floodriskmap/index.html

 

 

홍수 위험지도

홍수 위험지도는 하천의 제방이 무너지는 등 극한 상황에서 예상되는 침수 범위와 침수 깊이, 그리고 침수 위험 구역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보여주는 지도입니다. 구체적으로, 아래의 두 가지 유형으로 제공됩니다.

 

하천범람지도: 하천 물이 넘쳐 제방이 붕괴하거나 월류(물이 넘침)하는 등, 하천 주변에서 발생하는 침수 가능 지역과 깊이를 예측해 표시합니다.

도시침수지도: 하수도 등 도심 배수시설의 용량을 초과하거나 시설 고장 시 도심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침수 위험 구역과 그 수위를 보여줍니다.

 

이 지도는 100년에 한 번 있을 만한 극한 강우(시간당 50~100mm 이상)와 같은 비상 상황을 가정해 제작하였으며, 예기치 않은 홍수 피해를 미리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.

 

 

주 기능과 활용 방법
1. 각종 자연재해 대비
홍수 발생 위험 지역 조기 파악: 거주하는 마을, 학교, 사업장 등 관심 지역의 홍수 위험도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심층 정보 제공: 침수 예상 깊이, 예상 구역, 피해 규모 등을 색상과 숫자, 그래픽으로 직관적으로 제공합니다.

 

2. 생활 속 안전 실천에 도움
개인 및 가족의 대비책 마련: 위험도가 높은 지역 거주자는 대피 경로, 대피장소, 재난용품 등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습니다.

지역 사회 및 지자체의 방재 사업에 기초자료 제공: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홍수에 취약한 지역의 방재 대책 수립, 위험지역 알림, 긴급 대응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 

3. 접근성과 편의성
인터넷과 모바일 모두 지원: PC,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접근이 가능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검색 기능: 사용자는 주소, 동네 이름, 지도에서 직접 위치 선택 등 여러 방식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

 

실제 활용
예를 들어, 서울 강남구에 거주하는 시민이 자택의 홍수 위험 여부가 궁금하다면, 시스템에 접속해 ‘강남구’를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침수 위험 예상 구간과 침수 깊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직장이나 자녀가 다니는 학교 주변 지역도 함께 조회하여 상황별로 발 빠른 대응과 예방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 

주의할 점
이 시스템은 제방 붕괴나 월류 등 극한 상황을 가정하여 시나리오별로 침수 위험을 안내하므로, 실제 홍수 발생 시에는 침수 범위와 깊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.

 

배수시설 미비, 하수도 역류 등 내수(도시 내 물이 제대로 빠지지 않는 경우) 침수 요인은 일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 최신 지도와 재난 예보 정보를 함께 참고하는 것이 안전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.

 

예상치 못한 재해로부터 내 가족과 이웃을 지키는 첫걸음은 위험 구역을 미리 이해하고 현명하게 대비하는 것입니다. 환경부의 우리 동네 홍수 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, 우리 마을의 침수 위험 지역을 한눈에 파악하고, 실제 재난 시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꼭 한 번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.

반응형